본문 바로가기

Linux

Linux 기본 개념, 명령어 정리

일반 Application 개발자여도 Linux 는 실무에서 자연스럽게 접할 수 밖에 없는 기본적인 역량이라고 생각한다.

 

아주 가끔 인프라 담당자 없이도 해결 가능한 문제임에도 기초가 없어 헤맸던 과거를 돌아보며 오랜만에 블로그에 작성하며 Linux 기초부터 차근차근 학습하려 한다.

 

Red hat의 RHEL9(Red Hat Enterprise Linux)를 기반으로 공부해보며 정리할 예정이다. 

 

 


1. 기본


man: 메뉴얼 보기

ssh -l 계정 ip주소: 해당 ip로 ssh 접속(나갈때는 exit 혹은 ctrl+d - 계정 로그아웃도 마찬가지)

whoami: 현재 계정 확인
pwd: 현재 디렉터리 확인
ls -ltr: 가장 최신이 아래로 리스트업

  ifconfig / ip a / ip addr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의 IP 주소 등 정보 표시
  nmcli device show : NetworkManager 기반 네트워크 상태 상세 보기

 

도움말

1. whatis + command

2. command + --help

3. man + command

 


2. 파일


1) 생성
touch 만들파일명: 파일 생성
cp 복사대상파일명 만들파일명(혹은위치) : 복사
vi : 파일 편집(생성 수정 등 많은 기능 있음)
mkdir : 디텍터리 생성

2) 유지/변경 
rm: 파일삭제
mv: 파일이동 (내용은 유지됨)
rmdir / rm -r: 디렉터리 삭제
chgrp root puddy: 파일그룹권한변경 (puddy파일그룹권한을 root로변경)
chown root: root puddy: 파일소유권한변경 (puddy파일소유권한,파일그룹권한을 root로변경)

3) soft/hard 링크 ( = 바로가기)
●  inode: 파일마다 하드디스크에 저장되어있는 숫자(+pointer)  
● 하드 링크
ln 링크대상파일명 링크파일명
하드 링크는 원본 파일의 inode를 하드 링크 파일도 같이 사용하게 되어, 하드링크가 걸린 파일을 이동시켜도 계속 원본 파일을 가리키게 된다.

● 소프트 링크(심볼릭 링크)
ln -s 링크대상파일명 링크파일명
소프트 링크는 원본 파일의 inode와는 별개로 새로운 inode를 만들고 포인터는 원본파일을 가리킨다. 소프트 링크가 걸린 파일을 이동시키면 링크는 원본파일을 가리키지 못한다. 후에 다시 원위치로 되돌리면 다시 원본파일을 가리킨다.(출처: https://sksstar.tistory.com/10 [겨울섬의 블로그:티스토리])

 

● ls -li / ls -ltri ...
i를 붙이면 inode까지 보여준다.

 

4) Redirects


● Ouput(stdout:1) : >는 결과를 파일로 저장(덮어쓰기), >>는 추가(덮어쓰기X) 

 

력예시:  ls  -la > listings / ls -la >> listings
숨겨진 모든 것 출력(앞에 . 붙은 것들) 내용을 listings라는 파일로 만들어줌 / 숨겨진 모든 것 출력(앞에 . 붙은 것들) 내용을 listings라는 파일안에 내용 추가(모니터)  


● Iuput(stdin:0) : <는 입력(파일, 텍스트 등)을 명령어에 실행 (덮어쓰기), <<는 실행(덮어쓰기X)   

 

력예시:  cat < listings
입력한걸 명령어 실행(키보드)

 

Error(stderr:2)   

 

에러예시

ls -l root 2> errorfile

telnet localhost 2>> errorfile

 

cat errorfile을 해보면 아래와 같은 에러 메세지를 포함하는 파일이 생긴다.  

 

 

5) Pipes( | )


● 명령어1 [인자]  |  명령어2 [인자]

즉, 명령어를 다른 명령어와 묶어주는 것

 

ex) 가장 최근 파일만 딱 한줄 보고싶다?

ls -ltr | tail -1

 

 

6) vi


● vi는 https://blockdmask.tistory.com/25 해당 블로그를 자주 참고 했었다. 초급자 기준으로 아주 정리가 잘 되어있다.

728x90
반응형